# 엘라스틱서치의 데이터 단위
- 도큐먼트(document): 단일 데이터 단위
- 인덱스(index): 도큐먼트의 집합
# 데이터 저장 방식
- 샤드(shard): 인덱스 저장 기본 단위
-> 한 노드에 몇 개의 샤드로 구성할 지 정하게 됨.
- 복제본(replica): 샤드의 사본
-> 샤드를 복제하여 문제가 생길 경우를 대비함.
# 인덱스 생성
- 엘라스틱서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인덱스를 생성해야함.
- DB의 테이블 생성과 같은 역할이라고 생각함.
- 인덱스 이름만으로 생성하여 입력 받는 데이터에 맞게 동적으로 설정값이 변하게 할 수 있음.
- 그러나, 그렇게 하게 되면 나중에 데이터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길 수 있다.
# 엘라스틱서치 웹 Console로 인덱스 생성 과정
1) 왼쪽 메뉴(네비게이션) 클릭
- Management -> Dev Tools 클릭
2) 인덱스 생성 명령어 입력
- test_index: 인덱스 이름
- number_of_shards: 샤드 수
- number_of_replicas: 복제본 수
- property 이름과 type을 매핑
- 이후 실행 버튼 클릭하여 인덱스 생성
3) 인덱스 생성 완료
4) 생성된 인덱스 상세 확인
- 메뉴바에서 Management -> Stack Management 클릭
- 왼쪽에 나오는 Data -> Index Management 클릭
- 위에서 예시로 생성한 'test_index'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IT >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라스틱서치 특정 데이터 조회 및 수정 (0) | 2023.05.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