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엘라스틱서치2

엘라스틱서치 특정 데이터 조회 및 수정 # 엘라스틱서치에서 특정 데이터 조회 및 수정 - 엘라스틱서치에서 특정 데이터를 조회하고 수정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 엘라스틱서치 메뉴바에서 "Management > Dev Tools"에서 수정하는 방법을 작성한다. - 해당 엘라스틱서치 버전: 8.7 # 특정 조건의 데이터 조회 # 데이터 조회 성공 결과 - hits > total > value를 통해 조회된 전체 데이터가 10000개인 것을 확인 가능하다. - 조회된 데이터의 값은 hits > hits에서 확인 가능하다. # 특정 조건의 데이터 수정 # 데이터 수정 성공 결과 - 변경된 데이터 수 (total)가 101개인 것을 확인 가능하다. # 참고 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earch/re.. 2023. 5. 22.
엘라스틱서치 인덱스 생성 (elastic-search index create) # 엘라스틱서치의 데이터 단위 - 도큐먼트(document): 단일 데이터 단위 - 인덱스(index): 도큐먼트의 집합 # 데이터 저장 방식 - 샤드(shard): 인덱스 저장 기본 단위 -> 한 노드에 몇 개의 샤드로 구성할 지 정하게 됨. - 복제본(replica): 샤드의 사본 -> 샤드를 복제하여 문제가 생길 경우를 대비함. # 인덱스 생성 - 엘라스틱서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인덱스를 생성해야함. - DB의 테이블 생성과 같은 역할이라고 생각함. - 인덱스 이름만으로 생성하여 입력 받는 데이터에 맞게 동적으로 설정값이 변하게 할 수 있음. - 그러나, 그렇게 하게 되면 나중에 데이터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길 수 있다. # 엘라스틱서치 웹 Console로 인덱스 생성 과정 1) 왼쪽.. 2023.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