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2 .gitignore 파일 변경 # .gitignore 파일이란 github에 모든 파일을 올리고 싶지 않을 경우 사용하는 파일이다. 주로 용량이 많은 데이터셋은 깃허브에 올리지 않기 위해 사용한다. # 간단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Unit test reports TEST*.xml # Generated by MacOS .DS_Store # Generated by Windows Thumbs.db # Applications *.app *.exe *.war cs # .gitignore 파일 수정 후 적용 방법 깃허브를 사용하는 중간에 .gitignore 파일을 수정하고 적용하고 싶은 경우가 발생한다. 그런 경우 아래 순서로 진행하면 된다. 1. .gitignore 파일을 수정한다. 2. git rm .. 2023. 3. 8. git checkout remote branch # git branch 로컬 저장소의 브랜치 확인 - 위 그림처럼 나오게 되어 확인할 수 있음. - 나가기 위해서는 q를 클릭함. - 맥북에서는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 나가지지 않는 경우 발생함. # git branch -r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확인 - 위 그림처럼 확인이 가능함 - 스크롤을 하기 위해서는 방향키 위/아래를 사용하면 됌. - q를 누르면 나가짐. (한글로 되어있는 경우는 안되는 경우 발생) # git branch -t origin/"원하는 브랜치 명"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를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 명령어 - 위 그림에서 origin/3.0을 가져오고자 하면 git branch -t origin/3.0 으로 작성하면 됨. - 만약 이름을 다르게 가져오고자 하면 git branch -b [새.. 2023. 2. 16. 이전 1 다음